활엽수에 비하여 양분이 적은 메마른 토지에서도 자랄 수 있다. 건조한 토지나 추위가 심한 토지에서도 침엽수 무리는 잘 생장한다.
바카라사이트아바타게임루비바둑이주소‹akaxx.com›[bracketl3][bracketr3]↰바카라 룰┫카지노 에이전트⇠바카라 게임 룰┫배터리바둑이주소[고스톱게임
바늘처럼 생긴 잎은 두터운 큐티클 층으로 덮여 있다. 이 큐티클이 여름철의 건조나 겨울철의 추위로부터 잎 속의 수분을 지켜 준다.
대부분이 상록수인데, 그 잎이 2~3년의 수명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3∼10년에 걸쳐 떨어지는 것이 있으나, 낙우송이나잎갈나무와 같이 그 해에 떨어지는 낙엽수종도 있다.). 따라서 봄이 오면 새로운 잎이 나오지 않더라도 바로 광합성을 시작 할 수 있다. 즉, 낙엽수는 잎이 떨어지기 전에 잎에 있던 영양분을 줄기로 보내야 하지만, 상록수인 침엽수는 영양분을 언제나 잎에 저장해 두고 있을 수 있음으로써 이 영양분을 이용하여 바로 광합성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새 잎은 초여름에 준비가 된다. 그러나 이 새 잎이 생장하는 것은 바로 다음 해부터이다.
비료에 반응이 늦어 비료를 주어도 1년 반 정도는 아무런 변화도 나타나지 않다가 그 후 몇 년에 걸쳐 조금씩 비료의 효과가 나타난다. 반면에 활엽수의 경우에는 보다 빨리 비료를 준 효과가 나타난다.
세계의 침엽수림
침엽수림은 대체로 북위 50∼70°에 있고 평균기온이 10℃ 이상을 넘는 달이 2∼4개월에 불과하며, 겨울에 눈이 많고 평균기온이 영하 30∼40℃인 지역에서 잘 발달된다. 세계 최대의 침엽수림은 '타이가'라고 불리는 북방침엽수림(시베리아와 북아메리카 대륙의 북쪽에 발달한 광대한 면적의 숲)이다. '타이가'는 북반구를 둘러싸고, 캐나다, 북유럽, 북아시아로 퍼져 있다. 이 침엽수림은 겨우 몇 종류밖에 되지 않는 침엽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엽수는 자작나무뿐이다.
침엽수림에는 교목림과 관목림이 있다. '타이가'를 구성하는 침엽수의 나무 높이는 별로 크지 않지만, 온대 낙엽수림과 이웃하는 타이가의 남쪽에서는 나무 높이가 30~40m에 달한다. 북방침염수림에는 큰 관목은 볼 수 없다. 월귤나무 등과 같은 1m 정도의 관목이 바닥에 깔린 듯이 층을 이루고 있다. 이 관목의 층 밑에는 이끼류나 지의류와 더불어 듬성듬성한 풀도 볼 수 있다. 북방침엽수림은 가혹한 기후 속에 있다. 겨울은 말할 수 없이 추우며, 여름은 짧고 서늘하다. 강수량도 250m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침엽수는 수분의 증발이 적기 때문에 이만한 강수량으로도 충분히 살아갈 수가 있는 것이다.
침엽수림에서 자라는 침엽수들은 용재 또는 펄프재로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자원이다.
우리 나라의 침엽수림
설악산을 비롯하여 북부 고산지대의 눈잣나무 숲, 계곡에서 산정까지 연결되는 눈측백나무 숲이나 백두산 지역의 잎갈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등으로 구성된 침엽수림은 때로 수해(樹海, 나무바다)라고 부를 만큼 면적이 넓다. 우리 나라의 전국에 걸쳐 있는 소나무 숲은 평야지대와 산악지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침엽수림이다.